[기후변화와 식량위기 ④] G20, '식량 지속가능성' 위한 노력 부족하다 
[기후변화와 식량위기 ④] G20, '식량 지속가능성' 위한 노력 부족하다 
  • 문상희 기자
  • 승인 2021.08.01 0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 Unsplash
출처: Unsplash

기후변화를 막고, 전세계 식량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지속가능한 식량체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발표된 식량지속가능성지수(FSI)를 살펴보면, '식량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사회 경제 대국들의 노력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 FSI, "G20 국가 대부분의 식품 지속가능성, 상당한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과 바릴라농식품센터(BCFN)가 작성한 FSI는 이달 14일(현지시간) 발표되었다. FSI는 식품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3개 부문에서 G20 국가들이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3개 부문은 음식물 쓰레기와 지속가능한 농업, 그리고 영양 과제다. 

전반적으로 FSI는 G20 국가 대부분이 식량 지속가능성과 관련하여 '상당한 개선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결론지었으며, G20 중 캐나다와 일본만이 세 개 부문 모두에서 상위 사분위수 점수를 기록했다. 

◼︎ FSI, '음식물 쓰레기・지속가능한 농업・영양' 3가지 부문으로 평가 

FSI는 상술한 바와 같이 EIU와 BCFN이 개발한 순위로, 세계 국가들이 기후변화에 직면하여 어떻게 식량 지속가능성과 회복력을 확보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올해로 4번째 발표되었으며, 가장 최근 발표된 지수는 G20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다. FSI가 G20 국가에 주목한 이유는 이들 국가는 전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들인 동시에 온실가스 배출량도 가장 많은 국가이기 때문이다. G20 국가들은 모두 합쳐 전세계 온실가스 중 75%를 차지한다. 

EIU 측은 "경제가 발전한 G20 국가들은 2030년까지의 지속가능개발목표 달성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라며, "그리고 식량 체계는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변화・발전할 잠재력이 있다"고 설명한다. 

출처: Green Queen
출처: Green Queen

◼︎ 캐나다・일본 3가지 부문 모두에서 좋은 평가...미국이 최저, '육류 소비' 때문

FSI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와 지속가능한 농업, 영양 3가지 부문 모두에서 상위 점수를 기록한 캐나다와 일본 이외에 호주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영국도 꽤 좋은 점수를 얻은 반면, 국제사회의 이러한 변화의 움직임에 가장 역행한 곳은 미국이었다. 미국은 G20 국가 중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미국이 가장 낮은 순위를 기록한 이유로는 '높은 육류 소비'가 주요했다. 미국 이외에 인도네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는 음식물 쓰레기와 폐수량이 많아 낮은 순위를 기록했다. 

◼︎ 아르헨티나・호주・캐나다・미국, "2030년까지 음식물 쓰레기 절반 줄일 것"

목표 설정에 있어서는, 아르헨티나와 호주, 캐나다, 미국이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와 관련해 가장 높은 목표를 선언하고 약속했다. 매년 전세계에서는 9억 3,100만 톤에 달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모두 2030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50%로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출처: IFPRI
출처: IFPRI

하지만 G20 국가 중 절반 가까이가 아직 음식물 쓰레기와 관련하여 구속력있는 법안이 부재한 상황이며 모니터링 시스템도 갖추고 있지 않은 상태다. 

◼︎ G20 식량 지속가능성 제고 노력 필요..."기아 줄이고, 기후변화 저지 위해"

영양의 측면에서도 G20의 식량체계는 부족한 점이 많다. 그중에서도 미국의 경우 과도한 육류 소비가 두드러진다. FSI를 작성한 저자들에 따르면, 미국의 이와 같은 육류 소비는 기대 수명을 줄일 뿐 아니라 식이와 관련된 질병 발생가능성을 높이고 토지와 수자원에도 과한 부담을 준다고 설명했다.

BCFN 상임 연구원인 마타 안토넬리(Marta Antonelli) 박사는 G20 국가들이 반드시 식량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지속가능한 식량 체계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필수 요소이며, 무엇보다도 전세계의 기아를 줄이고 기후변화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식량 지속가능성'이 전제돼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