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日 니케이지수 30년 만에 사상 최대치...국민 체감 어려운 이유와 기대 영역은
[이슈+] 日 니케이지수 30년 만에 사상 최대치...국민 체감 어려운 이유와 기대 영역은
  • 양소희 기자
  • 승인 2024.02.23 16: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2일(현지시간) 기시다 후미오 총리 / 일본경제신문
22일(현지시간) 기시다 후미오 총리 / 일본경제신문

지난 22일 일본 니케이 지수가 3만9098.68로 3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장을 마감했다. 전거래일 대비 836.52포인트(2.19%) 올랐으며 3개월 전과 미교했을 때 5500포인트 넘게 치솟았다.

장중에는 3만9156.97까지 올랐다. 버블경제 시기인 1989년 12월 29일 수치와 맞먹는 종가에 30년 경제 침체기를 벗어나는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이날 거래량은 17억6948만주에 달한다. 

기시다 후미오 총리를 비롯한 정책 담당자들은 이에 대한 각각의 입장을 밝혔다.

기시다 총리는 "일본 경제가 지금, 움직이기 시작하고 있다"며 "국내외 시장 관계자들이 지금 이를 평가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든든하게 생각하고 있다"면서도 "주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삼가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하 경단련)은 "기쁜 일"이라며 "국내외 자금 유입 및 기업 실적 호조가 원동력으로 작용한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성장과 분배의 선순환을 강조하며 "디플레이션으로부터 완전히 탈출할 수 있는 귀중한 순간인만큼 경단련에서는 임금 인상과 국내 투자 촉진을 이어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스즈키 슌이치 일본 재무장관은 저녁 기자회견에서 "일본 내 개별 기업활동, 장래에 대한 기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시장이 결정되는 것"이라며 "당장 매일의 동향에 대해 코멘트를 하지 않겠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주가와 국민들의 생활 속 체감도가 동떨어져 있는 것에 대한 질문이 나오자 "정부 차원에서의 금융 대응을 통해 분배의 선순환 실현, 기업의 수익력 강화, 고물가에 뒤지지 않는 임금 인상에 힘쓸 것"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일본 현지에서는 지수 오름세와 달리 들뜬 분위기는 찾아보기 힘들다.

기시다 총리 역시 이를 인지하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느낄 수 있는 변화는 없다는 지적에 "임금 인상을 실현해야겠다고 새삼 느꼈다"고 답하긴 했지만 실질적인 대안은 아직까지 언급되지 않은 상태다.

현지 일부 국민들이 이를 실감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실질 임금의 저조와 증세(增稅)라고 전했다. 지난 6일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임금은 전년 대비 2.5% 감소했다. 명목상으로는 1.2% 늘었지만 물가 상승을 따라가고 있지 못하며 올해도 내려갈 것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주가와 실물경제가 연동되지 않는 상황인 셈이다.

증세 역시 투자 비과세 혜택을 대대적으로 선전하지만 사실상 수익 200만원 언저리까지만 비과세가 되는 등 그동안의 증세 비율에 비하면 턱없는 상황이다. 일본에서 회사원 생활을 하고 있는 현지인은 "국회의원들이 본인들의 월급을 끝까지 지키면서 샐러리맨들로부터 증세를 통해 돈을 뺏어간다는 이야기가 지난해 7월에는 공공연히 공중파에서 언급될 정도"라며 "증세로 물가가 올라가고 지수 상승으로 이어지지만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건 아무것도 없다"고 비판했다.

또 다른 현지인은 "빈익빈 부익부"라며 "일본 기업들 중에서 잘나가는 이들은 우리가 다 아는 기업들 뿐"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실적 호조나 상승세를 보이는 기업들은 전체의 30%에 불과하며 소프트뱅크, 유니클로 등이며, 표면적으로 이들이 주가 전체를 견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지수가 오르는 것이 대부분의 중소기업들의 사정이 나아지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지수 폭등이 버블 시기와 다른 점으로는 '실물 동반 여부'가 꼽혔다. 일각에서는 이런 움직임과 맞물려 일본 블록체인 정책이나 토큰증권(STO), 실물연계자산(RWA)이 두각을 나타낼 수 있다는 분석도 이어지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일본이 경제 활성화를 체감하고 시장에 돈을 융통하기 위해서는 금리 인상을 할 수밖에 없는데 지금은 이렇게 할 경우 중소기업들의 타격이 커지기 때문에 어렵다"며 "새로운 블록체인, STO나 RWA 영역은 금리를 인상하지 않고도 부동산이나 물류같은 실물 자산으로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 역시 이를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비과세나 세금 완화 정책을 추진하고 관련 산업에 투자중인 대기업을 지원하는 형태로 움직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