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기준금리 올랐는데 사라진 시중은행 연 5% 예금...왜?
[이슈] 기준금리 올랐는데 사라진 시중은행 연 5% 예금...왜?
  • 김민환 기자
  • 승인 2022.11.29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24일 기준금리 0.25%p 올렸지만 시중은행에서 연 5%대 예금 상품이 사라졌다. 금융당국이 수신금리 경쟁 자제를 주문한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은행권에 따르면 우리은행 대표상품인 '우리 WON플러스 예금'은 지난 13일 1년 만기 연 5.18% 금리를 제공했으나, 전날 기준 1년 만기에 연 4.98%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이 상품은 시장금리(은행채 기준)를 토대로 정책금리를 반영해 매일 적용금리가 달라진다. 정책금리는 우리은행의 자금운용계획에 따라 매일 변경된다. 12개월 만기 은행채(AAA) 금리는 지난 25일 기준 연 4.860%로 2주 전인 지난 11일의 연 5.013%와 비교하면 소폭 내려갔다는데 이는 이같은 금리 하락이 반영된 것이다.

KB국민은행의 대표상품인 'KB STAR 정기예금'의 1년 만기 기준 최고 연 5.1%에서 전날 기준 연 4.7%까지 떨어졌다.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의 1년 만기 상품의 금리는 전날 기준 연 5.1%로 2주 전과 변동이 없지만 상품구조에 변동이 생겼다. 지난 14일에는 기본금리만으로 연 5.1%였지만 현재는 기본금리는 연 4.8%로 낮추고 0.3%p의 특별우대 금리를 더해 연 5.1%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대표 정기예금 상품 중 연 5%대 금리를 제공하는 것은 하나은행의 '하나의 정기예금'(연 5.0%)이 유일하다.

지방은행 중에서는 제주은행 'J정기예금'의 1년 만기 금리가 지난 14일 기준 연 5.10%에서 27일에는 연 5.0%로 0.1%p 하락했다.

아직 BNK부산은행의 '더 특판 정기예금'(연 5.4%), SH수협은행의 'Sh플러스알파예금(2차)'(연 5.3%), 전북은행의 'JB123 정기예금'(연 5.3%),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연 5.3%), 광주은행의 '호랏차차디지털예금'(연 5.0%) 등은 연 5%대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영업점 수가 적거나 지역 위주의 은행인데다 이마저도 첫 거래 우대, 통장 개설, 마케팅 동의 등의 여러 조건을 충족해야만 최고 금리를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국적 점포망을 가진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아무 조건 없이 연 5% 금리를 제공하는 정기예금 상품은 반짝 등장했다가 사라진 셈이다.

시중은행의 금리 예·적금 금리가 뒷걸음질 치고 있는 데는 금융당국의 수신금리 경쟁 자제 주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난 25일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금융권의 과도한 자금확보 경쟁은 금융시장 안정에 교란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업권간, 업권내 과당 경쟁을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시중은행의 수신금리 인상으로 은행에 자금이 몰리면 상대적으로 은행보다 수신금리를 높게 유지해야 안정적 자금 조달이 가능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수신금리가 인상되면 대출금리도 이에 맞춰 인상해야하기 때문에 취약차주의 부실위험이 커지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2022년 10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은행권의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평균금리는 지난 9월보다 0.19%p 오른 5.34%다. 

가계대출 중 주택담보대출의 가중평균금리는 4.82%로 0.03%p, 일반 신용대출 금리는 7.22%로 0.60%p 올랐다. 주택담보대출은 2012년 5월(4.85%), 신용대출은 2012년 6월(7.89%)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처럼 시장금리 인상에 맞춰 대출금리도 따라 오르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권고로 예·적금 금리만 뒷걸음질 칠 경우 금융소비자들이 고스란히 그 피해를 볼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사무처장은 "예금 금리를 억제하려면 예금하는 사람들, 연금소득자나 퇴직자들의 생활도 생각해야 한다"며 "지금 대출금리는 엄청 높은데 예금금리는 낮다는 인식이 강한데, 예금 금리를 억제하려면 대출 금리도 제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비즈트리뷴=김민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