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나쇼크]검찰, 본격수사 돌입...가상화폐거래소 "공동대응협의체 구축"  
[루나쇼크]검찰, 본격수사 돌입...가상화폐거래소 "공동대응협의체 구축"  
  • 김민환 기자
  • 승인 2022.05.29 22: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출처=뉴스1
출처=뉴스1

검찰이 가상자산 루나와 테라USD(UST) 관련 수사에 본격 돌입했다. 가상화폐거래소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동대응 협의체를 구성하고 투자자 보호 방안 마련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29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폰지 사기'(다단계 금융사기) 의혹이 제기된 루나와 테라USD의 개발사 테라폼랩스의 전직 개발자 A씨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테라 블록체인의 초기 개발 작업에 관여한 개발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A씨의 진술 등을 근거로 권도형 최고경영자(CEO) 등 경영진이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의 설계 결함을 알고도 개발을 강행했는지, 의도적인 시세 조종이 있었는지 등을 조사할 것으로 전해졌다. 권 CEO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사기)과 유사수신행위법 위반 등 혐의로 국내 여러 투자자로부터 고소·고발됐다. 

그런 와중에 권 CEO는 최근 '테라 2.0' 출범을 강행,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가상화폐 거래소 루노의 비제이 아야 부사장은 CNBC 방송에서 "테라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커다란 신뢰의 상실이 있었다. 이미 개발자들이 활발히 활동하는 잘 확립된 플랫폼이 많다. 테라가 여기에서 성공해야 할 이유를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는 루나 2.0과 관련해 에어드롭을 하겠다고 밝히면서 에어드롭을 제공한다고 상장하는 것은 아니라며 상장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코빗은 '루나 2.0' 상장을 요청받은 바 없으며 고팍스는 상장시킬 계획 자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빗썸도 비공식으로 상장 심사 요청을 받았지만 상장할 분위기가 아니며, 코인원은 공식적으로 요청받은 것도 없고 상장 논의도 없다고 전했다. 코빗 관계자는 "루나 2.0과 관련해 거래 지원을 검토한 바 없다"면서 "상장 자체도 굉장히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5대거래소, 공동대응협의체  추진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등 국내 5대 거래소는 향후 루나 대폭락과 같은 유사사태가 발생을 대비, 이에 공동 대응하기위한 협의체 구성을 추진하고 있다. 

루나사태 이후 투자자들의 혼란을 부추겼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않기때문이다. 루나와 테라 가격이 99.99% 이상 폭락했던 지난 10∼13일 국내 거래소들은 루나를 '유의종목'으로 지정하고 거래지원 종료 등 조처를 했다. 다만, 조치 시점과 대응 방식이 제각각이어서 투자자들로부터 원성을 샀다. 

이후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의 이석우 대표는 "주요 거래소와 협업 체계를 논의해 유사한 긴급 상황이 발생하면 공동으로 대응할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겠다"며 진화에 나섰다. 

다만, 투자자보호에 대해 거래소별로 다소 상이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루나 사태과정에서 업비트와 코인원, 코빗은 루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시점 외에는 입출금을 허용했다. 시장의 개입을 최소화해 해외 거래소와 단절되는 '가두리' 현상을 막고, 해외 거래소에서 루나를 보유한 국내 투자자들의 현금화를 지원한다는 취지였다. 반면 빗썸과 고팍스는 시세 변동이 커짐에 따라 단타 거래를 노린 세력들이 유입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입출금을 즉각 중단했다. 통상적으로는 가격이 내려간다고 해서 거래소가 수시로 입출금을 막지는 않는다. 시장과 단절되면 가격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실제 빗썸과 고팍스에서 루나는 해외 및 국내 타 거래소 시세보다는 상당히 높은 1000∼3000원대에 거래됐다.

거래소들은 입출금 중단 기준 등을 하나로 통일하기보다는 유의종목 지정이나 거래지원 종료 시점 등을 큰 틀에서 함께 조율하는 방향으로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입출금 중단에 대한 판단은 사태를 얼마나 잘 파악하고 있는지에 따라 다른 거래소와 차별화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거래지원 종목심사 기준에 대해서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심사 항목은 함께 선정하되 항목별로 점수를 매길 때는 거래소의 재량에 맡기는 방식 등이 거론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