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국감] 6년간 은행점포 775개·ATM 1만1212개 사라져...고령층 금융소외 심화
[2021 국감] 6년간 은행점포 775개·ATM 1만1212개 사라져...고령층 금융소외 심화
  • 김민환 기자
  • 승인 2021.10.05 15: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ㅣ유동수 의원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ㅣ유동수 의원실

디지털 금융시대로 전환되면서 고령층의 ‘디지털 금융 소외’가 심화하고 있다. 이에 디지털 금융 소외계층을 위한 보와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5일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 4만3710개 달하던 자동화기기(ATM)는 올해 8월 말 기준 3만2498개로 약 1만1212대 감소했고, 은행 점포 역시 최근 6년간 775개가 폐쇄됐다. 

하지만 60대 이상 인터넷전문은행 이용률은 올해 상반기 3.65%에 불과해 ‘금융 양극화’ 현상이 심화됐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발표한 ‘2020 디지털정보 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빈곤과 디지털 격차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처럼 디지털 격차는 노인의 사회적 경제적 고립을 가져오고 또 빈곤과 돌봄의 부재가 낳은 정보 소외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된다. 

실제 점포폐쇄 지역이나 노령자들 편의를 위한 이동점포도 현실은 은행의 홍보를 위해 대도시, 대학가, 휴가 피서지 위주로 운영됐다. 또 금융위원회가 3000만원을 들여 연구용역을 의뢰했던 '고령층 친화적 디지털 금융환경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 연구용역'에는 ▲고령자 친화 앱 개발 ▲눈에 띄게 큰 글씨 ▲편의성을 제공하는 앱 ▲앱 품질 개선 등의 선언적인 결과만이 제시됐다.  

유 의원은 금융감독원 역시 일찍이 고령자 대상으로 여러 가지 교육을 시도하고 있지만 의무적이 아닌 교육 요청에 의해 수요조사 후 교육을 제공하는 등 수동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고령자의 금융사기 피해로 이어졌는데, 2016년부터 60대 이상 고령층의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4258억원에 달한다.

유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금융감독원장이 ‘은행점포 폐쇄시 사전신고제 및 점포폐쇄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시행하겠다’고 했지만 20년에만 304개의 점포가 사라졌고 올해 상반기는 79개의 점포가 폐쇄돼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자율적 절차가 실효성이 없다면 점포폐쇄 전 사전 용역의무화라던지, 공동점포, 국가기관인 우체국을 활용하는 방법 등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 선진국은 고령층 금융 소외를 ‘경제적 학대’로 인식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라며 “금융 분야 기술 혁신 속도가 가속화되면 고령자의 금융정보 접근한계와 금융서비스 소외 문제가 앞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를 초래할 것”이라고 봤다. 

유 의원은 “금융당국은 선언적 내용이 아닌 고령층 전담 점포, 은행 창구업무 제휴, 고령층 디지털 금융 교육 등 실질적으로 피부에 와닿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금융당국의 책임 강화를 통해 급속도로 변화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더 이상 고령자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즈트리뷴=김민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