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천정부지 집값·가계대출 관리 난항에…결국 전세대출 옥죄나
[부동산+] 천정부지 집값·가계대출 관리 난항에…결국 전세대출 옥죄나
  • 이서련 기자
  • 승인 2021.09.28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계대출과의 전쟁을 진두지휘하는 고승범 금융위원장의 말이 미묘하게 조금씩 바뀌고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전세대출 규제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던 고 위원장이 손을 대겠다는 쪽으로 입장이 이동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 27일 고 위원장은 경제·금융시장 전문가 간담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나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면서 "전세자금 대출은 실수요와 연결된 측면도 있고 전세대출의 여러 조건이 좋다 보니 많이 늘어나는 부분도 있어서 종합적으로 보겠다"고 밝혔다.

고 위원장은 이날 "실수요자가 피해 보는 것은 피해야 하니 신중히 고려하겠다"고 덧붙였으나 '전세대출의 조건이 좋아 많이 늘어난 부분이 있다'는 언급을 보면 이에 대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달 16일 금융업협회장 간담회에서 가계부채 총량 관리로 실수요자가 피해를 본다는 지적에 대해 "집단대출, 전세대출, 정책모기지가 많이 늘고 있는 데다 실수요와 관련된 대출"이라며 "전세대출과 집단대출(중도금대출) 모두 실수요자가 피해 보지 않도록 계속 검토하겠다"고 말한 것과 다른 스탠스다.

이미 가계대출 비중이 큰 KB국민은행은 행동에 나섰다. 이 은행은 29일부터 한시적으로 전세자금 대출 한도를 '전셋값 증액 범위 내'로 줄였다. 예컨대 전세 보증금이 4억원에서 6억원으로 오른 경우 지금까지는 최대 80%인 4억8천만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증액된 2억만 받을 수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최근 은행권의 움직임은 금융위가 이미 전세대출 규제에 발을 내디뎠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다음 달 대책에 어느 정도의 강도와 범위로 규제책이 나오느냐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증가 주도한 전세대출

금융위의 고심은 전세대출이 실수요자 대출이긴 하지만 이 상태로 놔두고는 가계대출 총량 관리가 어렵다는 데 있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5%가 넘어 금융위가 제시한 마지노선인 6%의 턱밑에 육박했다. 연말까지 남은 4개월간 금융권이 대출을 사실상 동결하지 않을 경우 총량 관리 목표 달성은 어렵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은 8월 말까지 4.28% 증가해 이달 중 증가율이 5%를 넘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은 이미 신용대출은 물론 부동산담보대출 가운데 집단대출(아파트 중도금 대출) 등은 한도를 대폭 축소하거나 중단했다.

문제는 전세대출이다. 5대 은행의 경우 지난 8월 말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493조4천148억원으로 작년 말보다 4.14%(19조6229억원) 증가했는데, 이 기간 전세자금 대출잔액은 105조2127억원에서 119조9670억원으로 14.02%(14조7543억원)나 불어났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의 75.1%,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28조6610억원)의 51.5%를 각각 차지했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지난 2015년 말에서 작년 말까지 5년간 금융권 전체의 전세대출 잔액은 40조원에서 153조4천억원으로 283.5%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처럼 전세대출이 급증했지만, 금융위는 지난 7월 1일부터 시행된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40% 적용 대상에서 전세대출은 제외했다. 투기 수요가 아니라 실수요라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전세대출이 주택 구매나 주식 투자 등 다른 용도로 상당 부분 전용되면서 자산 시장의 버블을 키웠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젊은층을 중심으로 전세대출을 한도껏 받은 뒤 일부만 전세대출에 쓰고 나머지는 주택 갭투자나 주식, 코인 등 투자로 돌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실제 KB부동산 리브온에 의하면 8월 전국 주택 전셋값은 1년 전보다 11.28% 올랐고, 아파트 전셋값은 13.69% 뛰었다. 수도권의 경우 이 기간 전국 주택 전세가는 14.40%, 아파트 전셋값은 17.77% 치솟았다.

서 연구원은 "작년까지 5년간 주택 전셋값은 30% 올랐는데 전세대출은 283% 증가했다"면서 "이는 상당 부분 받지 않아도 될 전세대출을 받아 주택 구입이나 주식 매입 등에 투자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 현재 전세대출의 보증 한도를 줄이면 은행들이 차주의 신용도에 맞춰 대출 한도나 가격(이자)을 결정할 수밖에 없어 자연스럽게 대출 규모가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트리뷴=이서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