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ESG-①] 키워드는 탄소중립
[건설업계 ESG-①] 키워드는 탄소중립
  • 이서련 기자
  • 승인 2021.08.02 11: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게티이미지뱅크
자료: 게티이미지뱅크

건설업은 업종 특성상 ESG 경영에 한계가 있다는 평가가 많았다. 실제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건축물 분야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2010년 기준 1971년 대비 2배 증가)다.

그러나 최근 건설사들은 ESG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탄소 중립을 표방하고, 신재생 사업을 확장하는 동시에 친환경 건축에 집중하는 등 속도를 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이 외에도 현장의 사고 안전 관리와 지배구조 개선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Environment –①탄소 중립

건설업계는 탄소 중립을 위해 풍력, 태양광, 연료전지 등 신재생 사업을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다. 해당 사업에서 건설 참여 영역은 기본적으로 △부지 선정(Developer) △발전단지 EPC 총괄 △발전단지(SPC) 지분 투자를 통한 EPC 확보와 지속 보유를 통한 배당 수익 기대 등이다.

나아가 △신재생에너지 전문 특허 기술을 보유한 기업 지붙 투자 및 인수 △도심 내 신재생에너지가 결합된 복합단지 개발 사업 확대 △국내 신재생 개발 경력과 친환경 특허 기술로 해외 시장 공략까지도 뻗어나갈 수 있다.

각 사별로 살펴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탈석탄을 선언하고 석탄 관련 투자, 시공 및 트레이딩 사업 신규 사업 전면 중단했다. 또 기존 사업을 순차적으로 철수하고, 향후 석탄화력 발전 관련 사업 참여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SK에코플랜트 역시 수소연료전지, 해상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국내 연료전지 시장점유율 확대해 가고 있으며, 지난 6월 폐기물 소각기업 4곳을 인수한 데 이어 이달 추가로 3곳을 인수했다.

현대건설은 '2050 글로벌 그린 원 파이오니어(Global Green One Pioneer)' 비전을 설립했으며, 롯데건설은 수소경제도시 계획, 논산 수소연료전지발전소와 수소충전소 등 친환경 수소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대우건설도 충북개발공사와 국내 최대 규모의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 건립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시멘트 산업의 경우, 폐합성수지를 적극 사용하며 자원순환 기업으로 재탄생하고 있다. 온실가스가 다량 배출되는 유연탄 연료를 폐합성수지로 대체하면서, 감축 노력에 힘쓰고 있는 것이다.

기업들은 2021년 약 20% 수준인 폐합성수지 연료 대체율을 2025년 산업 평균 40%, 2030년 80%로 하는 것을 중장기 목표로 하고 있다.

■Environment –②친환경 건축(그린 리모델링·제로에너지빌딩)

건설업계는 친환경 건축을 위해 '그린 리모델링'과 '제로에너지빌딩' 등도 추진하고 있다.

그린 리모델링은 기존 노후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건강한 거주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건축물의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와 LH가 함께 추진하는 정책사업을 말한다. 단열 성능 향상, 창호교체 등을 통해 노후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는 리모델링이다.

정부는 2025년부터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의무화를 시행하고, 공공·민간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사업비와 이자비용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필수공사는 외부창호 성능개선, 일사조절장치 등 건축물 외피 기능 향상 등이며, 추가지원 가능 공사는 에너지 관리 장치, 피크부하 저감 장치(ESS) 등 신재생에너지 공사, 고효율 냉난방장치와 같은 에너지 성능개선 관련 공사다.

'제로에너지빌딩'과 같은 친환경 건축도 활발하다.

제로에너지빌딩이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부하와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녹색건축물(빌딩)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단열·기밀성능 강화 등을 통해 냉·난방 에너지요구량을 최대로 줄이고, 고효율 설비를 적용해 에너지소비량을 감소시키는 노력이다.

정부는 2019년 6월 '제로에너지건축 단계적 의무화를 위한 세부 로드맵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 의무화를 시행했다. 연면적 1000㎡ 이상 공공건축물 대상으로 2020년부터 의무화하고, 2025년부터는 민간건축물을 대상으로 한다.

2030년에는 모든 용도의 민간∙공공건축물에 의무화할 계획이다. 특히 창호와 단열재 성능에 집중해 고성능 창호와 실내 온도를 일정히 유지하는 외단열재 등의 상용화 촉진에 박차를 가한다.

엄정희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관은 "한국판 뉴딜을 계기로 출발한 공공건축물 그린리모델링 사업은 건물부문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및 2050 탄소중립 등 글로벌 환경 및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초석"이라며 "국토부는 다각도의 지원방식으로 그린리모델링을 비롯한 녹색건축의 본격 확산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즈트리뷴=이서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