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탁 재산 968조원...안전자산 비중 ↑
지난해 신탁 재산 968조원...안전자산 비중 ↑
  • 어예진 기자
  • 승인 2020.06.18 10: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제공=연합뉴스
사진 제공=연합뉴스

지난해 금융사가 수수료를 받고 자산을 대신 관리·운용해주는 신탁 재산 규모가 968조6000억원으로 늘어났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신탁회사 60곳의 총 수탁액은 2018년 말보다 95조1000억원 늘어난 968조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은행에서 45조3000억원이 늘어났고, 증권사 28조4000억원, 부동산신탁사 23조8000억원씩 각각 신탁 자산 규모를 불렸다. 반면, 보험사는 1년 전보다 2조4000억원(10.5%) 수탁액이 줄었다. 

신탁 재산별로는 금전 신탁이 483조9000억원을 차지했다. 퇴직연금 신탁(22조1000억원)과 정기예금형 신탁(17조9000억원)을 중심으로 46조6000억원이 늘어난 결과다.

재산 신탁은 부동산담보 신탁(29조6000억원)을 중심으로 34조6000억원 늘어 484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은행의 경우 파생증권형 신탁과 주식형 신탁이 각 3조3000억원, 1조원씩 줄어들었다. 반면 수시 입출금식 신탁과 정기예금형 신탁은 각 4조원, 2조원씩 증가했다. 증권사 정기예금형 신탁도 18조1000억원으로 22.3%가 늘었다. 

이처럼 신탁 규모가 급증한 것은 지난해 대규모 원금 손실을 부른 해외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영향이 크다.

시장 불확실성도 증가하면서 고위험 금융투자상품에 대한 수요가 위축되고 안전자산 위주의 신탁 계약이 늘어난 것이다.

이런 가운데, 금융당국은 특정 금융상품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고난도 금융상품의 신탁 판매에 제한을 받게 된 은행들이 새로운 대체 상품을 만들어 고객 자산을 쓸어 담을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단기간 판매량이 급증하는 특정금전신탁상품을 감시하고 투자자 보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대처하는 등 시장 변화에 적시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금감원은 신탁사들이 분기마다 상품별로 위탁자 유형, 위험도, 보수, 만기, 운용 방법 등을 보고하도록 업무보고서 관련 규정을 바꿨다. 이같은 내용은 다음달부터 시행된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부동산신탁사의 유동성 리스크를 수시로 점검해 과소계상 충당금에 대해서는 추가 적립을 요구하는 등 손실 흡수 및 유동성 대응 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 미분양 물량 증가 등으로 토지신탁 사업장이 부실해지면서 신탁사의 재무 건전성도 악화할 우려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편, 지난 한 해 동안 금융사가 받은 신탁 보수는 2조3245억원으로 1년 전보다 6.5% 늘었다.

 

[비즈트리뷴=어예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