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눈가리고 아웅식' 연금보험금 삭감 지급해 적발 "연금보험 가입자들 피해 예상"
우체국, '눈가리고 아웅식' 연금보험금 삭감 지급해 적발 "연금보험 가입자들 피해 예상"
  • 구남영 기자
  • 승인 2020.01.10 19:3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CI제공=우체국·대한법률구조공단>

우체국이 눈가리고 아웅식으로 연금보험금을 삭감해 지급해오다가 발각됐다.

우체국은 연금보험금을 지급하면서 고객과 맺은 계약서상의 금액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연금액을 산출시켜 감소된 금액을 지급해오다가 소송에 걸려 패소했다.

업계에서는 이와 유사한 우체국 보험상품에 가입한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파악해 같은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일 법률구조공단에 따르면 우체국 연금보험 가입자 정모씨(78)는 지난 19년간 우체국이 연금보험금을 계약서상 약관보다 적게 지급한 금액 500여만원을 최근 법원 소송을 통해 받아냈다.

정씨는 1994년 우체국 보험상품(종신연금형, 체증형)에 가입해 2000년부터 매년 연금을 받아왔다.

약관에 따르면, 연금 개시연도인 2000년부터 10년간은 직전연도 연금액에 체증률 10%를 곱한 금액을 지급하고 이후에는 10년차 연금액과 동일한 액수를 지급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우체국이 최초 10년간 적용한 체증률은 약관에 명시된 10%가 아닌 매년 정기예금금리의 변동을 반영한 4.84~9.37%였다. 또한 11년차 이후의 연금액에 대해서는 매년 정기예금금리의 변동을 반영한 연금액 산출식을 적용해 직전연도보다 7.12~14% 감소한 금액을 지급했다.

이는 정기예금금리의 변동에 대한 어떠한 부분도 계약서상 약간에 기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우체국이 계약과는 무관하게 자체적으로 연금액을 결정해 지급한 것이다.

이에 약관을 꼼꼼히 살펴본 정씨는 연금액이 예상보다 적게 나오자 우체국에 이의를 제기했다.
 
수차례 민원을 제기한 끝에 열린 우체국보험분쟁위원회에서는, 정씨의 민원을 일부 반영해 11년차 이후의 연금액은 변동금리를 배제하고 10년차 연금액을 종신토록 지급하라는 조정 결정을 내렸다.

그러나 이는 10년차 연금액 자체가 과소하게 산정된 것이며 이에따라 매년 받는 연금액도 적을 수 밖에 없는 불합리한 조정 결정이었다.

이에 정씨는 미지급 연금액 500만원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지만 변호사 없이 홀로 소송을 진행하던 정씨는 불리함을 느껴 대한법률구조공단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송과정에서 우체국은 개인연금보험 상품의 경우 체증률 10%를 기준으로 변동금리(정기예금금리)를 적용했고 정기예금 이자가 지속적으로 하락함에 따라 연금액 체증률이 10%에 미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반면 이 사건을 담당한 법률구조공단 안양출장소 신지식 변호사는 "약관상 정씨가 가입한 보험은 10년 보증부 체증형일 뿐, 이 체증율에 다시 어떤 수치를 곱한다는 내용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계약체결 당시 우체국이 배포한 연금보험 가입 안내 팸플릿까지 제시하며 반박했다.

신 변호사는 “가입자와의 약속인 약관은 금융기관 자체적으로 설정한 셈법보다 우선한다”며 “피해자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체국이 먼저 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소송에서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김지숙 판사는 보험약관, 보험증서, 안내장 등을 종합하면, 우체국에서 내부적으로 변동금리를 반영하고자 했던 사정이 있었다 하더라도, 약관의 해석상 직전연도 연금액의 10%를 체증한 금액을 지급하기로 약정한 것이라며 정씨의 청구를 전부 인용하여 5백여만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와관련 법률구조공단 관계자도 "우체국측이 변동금리를 적용한 것이라고 해명한 것은 계약을 조건과 무관한 내용을 자체적으로 도입해 연금액을 지급했다고 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우체국 연금보험에 가입했다가 유사한 피해를 보시는 분들에게 이번 소송이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 우체국은 이와관련해 어떠한 해명과 문제해결에 나서고 있지않다.

한편, 주민소득 125퍼센트 이하인 시민이라면 누구나 대한법률구조공단을 통해 법류자문과 변호사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소득기준에 따라 무료 또는 소액의 수수료를 지불해 이용할 수 있다. 

[비즈트리뷴=구남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