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1Q 영업익 두 배 ‘껑충’…수익성 회복+일회성 수익
기아차, 1Q 영업익 두 배 ‘껑충’…수익성 회복+일회성 수익
  • 강필성 기자
  • 승인 2019.04.25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즈트리뷴=강필성 기자] 기아자동차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판매단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회복되는 상황에서 통상임금충당금 환입에 따른 일회성 이익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기아차는 25일 서울 양재동 기아자동차 본사에서 컨퍼런스콜로 기업설명회(IR)를 열고 1분기 영업이익이 594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4.4% 신장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매출은 12조444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감소했고 순이익은 649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늘었다. 

아울러 1월 중국을 포함한 글로벌 도매 판매는 64만8913대로 전년 동기 대비 0.5% 증가했다. 국내에서는 전년 대비 7.5% 감소한 11만4482대, 해외에서 전년 대비 2.4% 증가한 53만4431대를 기록했다. 

산업수요 성장세가 둔화된 유럽과 중국에서는 판매가 소폭 감소했으나, 미국 시장에서는 대형 SUV 텔루라이드 신차 판매가 호조를 나타내고 있고, 신흥 시장에서는 K3, 스토닉 등의 판매가 늘고 있어 향후 판매 개선이 기대된다는 설명이다.

매출액은 내수 부진에 따른 RV 판매 비중 하락 등으로 전년 대비 0.9% 감소했다. 매출원가율은 주요 신흥국 통화가 약세를 보였으나 원화 대비 달러 환율 상승과 통상임금 소송 충당금 환입 효과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2.5%포인트 하락한 82.1%를 기록했다.

판매관리비는 글로벌 업체 간 판촉 경쟁의 심화 등에도 불구하고 전사적인 비용절감 노력 등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함으로써 판매관리비 비율은 전년 대비 0.1%포인트 증가한 13.1%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미국 시장에서의 성공적인 텔루라이드 출시, 우호적 원달러 환율 환경의 영향, 통상임금 환입으로 인한 매출원가 감소 등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크게 상증했다. 이에 따라 1분기 영업이익률은 2.4%포인트 증가한 4.8%로 집계됐다.

기아차 관계자는 “국내 등 일부 지역 판매 감소와 RV 주력 모델 노후화로 인해 매출액은 소폭 줄어들었으나, 판매단가 상승, 북미 수익성 개선 및 통상임금 소송 충당금 환입 등에 따른 매출원가 감소로 영업이익은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어 “어려운 여건이 지속되고 있지만 최근 미국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런칭한 텔루라이드, 곧 선보일 하이클래스 소형 SUV(프로젝트명 SP2) 등 신규 RV 모델을 비롯한 신차 판매를 확대하고 신흥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해 판매목표 달성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아차는 올 한해도 어려운 경영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RV 모델을 중심으로 한 성공적인 신차 투입, 주요 지역별 볼륨 차급 판매 확대, 신흥 시장 공략 강화 등을 통해 판매목표 달성 및 수익성 방어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 계획이다.

특히 최근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출시한 대형 SUV 텔루라이드 판매를 본격화하는 동시에 미국 엔트리 CUV 시장 부동의 1위 차종인 쏘울 신 모델의 판매 확대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더불어 하반기에는 하이클래스 소형 SUV(프로젝트명 SP2)를 글로벌 시장에 투입하고 국내 시장에는 모하비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출시하는 등 신규 RV 모델을 적극적으로 투입해 수익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인기 차종인 K5 차세대 모델과 K7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선보여 국내 판매 확대를 이끌 예정이며, 미국 시장에서는 텔루라이드와 신형 쏘울 외에도 K3, 쏘렌토 등 볼륨 차급의 판매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유럽에서는 인기 차종인 씨드(Ceed)의 CUV 모델 출시를 통한 풀라인업 구축, 니로 EV 및 쏘울 EV 등 친환경차 판매 확대를 추진하며, 중국에서는 핵심 볼륨 모델인 K3와 KX3 신차 판매, 딜러 역량 강화 등으로 판매 회복에 나선다.

이와 함께 하반기 인도 공장이 본격 가동에 들어갈 예정으로, 향후 기아차의 신흥 시장 판매는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아차 관계자는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지속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미래를 위한 효율적인 투자를 포함해 향후 당사의 전반적인 기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함으로써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를 제고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