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으로 보는 영화이야기③] 영화에서의 소리-대사
[음악으로 보는 영화이야기③] 영화에서의 소리-대사
  • 승인 2016.04.27 11: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두번째 소리인 대사, 음성언어입니다.
 
대사의 사전적 의미는 연극, 영화 등에서 출연자들이 주고 받는 대화입니다.
무성영화시대에는 이 대사가 자막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자막은 영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으나 흐름을 끊어 지루해지기도 했습니다.
유성영화가 만들어지며 영화는 더 복잡하고 정교한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었고 깊이있는 성격묘사와 정확성, 양면성과 모순을 표현해 무게를 더하게 됩니다.
 
분명 같은 문장과 말인데 기분 좋게 존중 받는 기분이들 때도 있고, 정반대로 마음 상하게 하는 비아냥거림처럼 들렸던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입니다.
음성언어를 사용하는 예술로는 연극, 영화, 노래가 대표적입니다.대사 혹은 가사에 의존해 이야기를 가장 직접적이고 명료하게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연극에서의 대사와 노래는 같은 배우, 가수라도 매번 그 해석과 연주가 달라집니다.
그러나 영화에서의 대사는직접적이며 촬영되는 순간 고정되어 재해석이 불가능합니다. 영화에서는 배우,대사, 등장인물의 성격이 동일시 됩니다.
 
영화배우의 연기는 몸짓과 대사로 이루어지며 시간과공간에서 발생하는 인과관계로 구성된 실제 혹은 허구적인 사건의 연결을 의미하며 서사구조-내러티브(narrative)-라합니다.
이야기를 조직하고 이에 따른 편집, 조명 한 편의영화를 위한 포괄적인 내용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야기(Story)와내러티브(narrative)는 비슷한 듯 다른 의미를 지닙니다.
내러티브는본문의 이야기(Story)와 이야기가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과정이 포함된 것을 의미합니다.
 
영화의 연기와 내러티브는 연속적인 시간의 배열과흐름에 의존합니다.
영화의 시간은 현재의 시간이 아니나 관객은 예측 가능한 시간 속으로 몰입하게 됩니다
ABCD순서의 이야기를 ACBD의 순서로 바꾸어 이야기를풀어나간다면 배우와 관객 사이에 문제풀이를 하듯 흥미를 일으키게 합니다.
 
내러티브의내용인 사건, 인물, 배경상호관계로 이루어진 이야기를 어떻게 관객에게전달하는지는 감독을 포함한 모든 제작진의 영원한 숙제일 것입니다
 
말론 브란도 신이내린 목소리라 하지요. 그가 아니었다면 대부(God Father, 프랜시스 포드 코플라감독)의 돈 클레오네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 (왼쪽부터) 말론 브란도 , 알렉 기네스 l 출처=네이버영화
 
알렉 기네스 또한 뛰어난 대사연기로 같은 문장을 수십개의 감정으로 즉석에서 연기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스타워즈에서의 목소리연기는 인물은 등장하지 않았으나 목소리만으로 화면을 가득 채우는 존재감이었습니다.
 
영화에서의 대사(활자언어)는 문학성이 풍부하지는 않습니다.
관객의 상상력이 요구되는 논리와장면의 묘사를 시각으로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영화에서의 음성언어는 활자언어보다 더 많은 여운을남기는데 기본적인 의미전달 외에 같은 문장이라도 언어가 가진 소리, 감정, 음높이에서 느껴지는 섬세함의 차이 입니다. 뉘앙스(nuance)라고 하지요.
대사는 필연적으로 배우의 발성에 의해 연기와함께 드러납니다.
배우의 목소리와 화법 표정과 외모 걸음걸이 몸짓 등 등장인물의 성격을 특징짓는 중요한요소가 됩니다.
이 요소들이 대사의 내용과 내러티브와 함께 연기의 한 부분이 됩니다. 영화에서의 인물과 시대적 사회적 배경의 표현이지요.
단순한 문장의 구두점, 억양, 웃음이나 특정단어의 급강하 말의 삼킴 음고의 미세한 변화는악기연주의 거장을 연상하게 합니다.
 
                                     
▲ (왼쪽부터) 알 파치노 , 카사블랑카 l 출처=네이버영화
 
                    
영화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방언은 신중하고 적절한표현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표준어의 하위표현으로 여깁니다.
영화에서는 이런 표현이 풍부한 사실감을 줄수 있는데 주로 중산계층이 아닌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그들의 이면을 전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알 파치노의'스카페이스' 를 권합니다.)
 
<나는 그를 만나겠다> 이 단순한 문장을 말할때 미소를 짓거나 얼굴을 찡그리거나 눈의 각도, 카메라의 클로즈 업,어감, 강세, 움직임에 따라 전혀 다른 의미로전달될 것입니다.
이와 동시에 들리는 음향과 음악은 대사와 배우의연기를 많은 부분 과장 왜곡 또는 감정의 삭힘을 도와줍니다.
단순한 문장이 수십가지의 의미를 갖게되는 것이지요.
 
개인적으로는 더빙보다는 자막을 선호합니다. 배우의 억양, 목소리, 감정의뉘앙스가 대사보다 더 중요하게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음악칼럼니스트 심상범 gabrielshim@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