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바이오산업 인력수급 '미스매치' 해결 정책 방안 모색
국회, 바이오산업 인력수급 '미스매치' 해결 정책 방안 모색
  • 김려흔
  • 승인 2018.07.10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즈트리뷴=김려흔 기자] 바이오산업의 인력수급의 미스매치가 존재한다는 지적이 계속되는 가운데 해당 분야의 인력수요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와 주목된다.

 

김은정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R) 생명기초사업센터장은 1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사람중심 바이오 경제를 위한 바이오의약산업 발전 방안' 토론회에서 "바이오헬스분야의 산업기술인력이 증가하고 있는데 비해 산업기술인력의 부족률은 최근 몇년동안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김 센터장은 "바이오헬스분야 인력수급 미스매치는 국내 바이오혁신시스템을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정부의 역할을 재검토하는 취지의 정책연구내의 바이오헬스 인력·인프라 분야 문제 심각성 및 시급성을 묻는 현장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고용정보원의 '2016~2026 중장기인력수급전망'에 따르면 경쟁심화, 산업구조 조정 등으로 제조업의 취업자 수 증가는 정체될 것이나 의료·정밀기기 및 의료용 물질·의약품 제조 업종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업보다 서비스업의 인력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서비스업 중에서도 인구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과학기술혁신 가속화 등의 영향으로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의 일자리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산업진흥원의 제약기업 일자리 수요전망에서도 향후 5년 동안(2017~2022년) 바이오의약 분야에서 생산직의 비율이 가장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김 연구원은 이와관련, "▲전문인력 교육·훈련 프로그램 지원 확대 ▲중소·벤처 기업 취업 인센티브 활용 ▲창업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지속 창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특히 "의약품 제조업의 생산 금액당 고용인원수는 1억8000만원당 1명으로 타산업의 제조업 생산 금액(4억5000만원당 1명)에 비해 고용효과가 높은 산업"이라며 "뿐만 아니라 석·박사급의 연구인력의 유입이 높은 산업이기 때문에 정부의 지원과 육성이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16년부터 바이오 창업 생태계 조성 논의를 본격화 했다.

  

김 연구원은 "정부차원에서 바이오를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와 전략이 제시된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17~2026)'의 창업·사업화 전략 과제들이 구제화 되고 차질 없이 실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정춘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업계에 종사하는 분들이 현장에서 많은 어려움 호소하는데 가장 많이 듣는 얘기가 현장에 바로 투입이가능한 숙련도를 가진 인력없다는 것"이라며 "정부 인력양성정책이 전문성 부족하고, 이론교육에 지충한다는 지적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가차원에서 장기적인 R&D 투자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