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는 ESG-1] 이제는 ESG다...'지속가능'은 선택 아닌, 필수
[대세는 ESG-1] 이제는 ESG다...'지속가능'은 선택 아닌, 필수
  • 윤소진 기자
  • 승인 2021.02.03 15: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미지=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의 개념이 점차 확장되며 글로벌 기업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ESG란 쉽게 말하면 '착한 기업'과 맥을 같이 한다. 그동안 윤리적 소비와 사회 환원, 인권 문제, 동물복지 등에 대한 시장의 관심은 많았으나, 기업의 '핵심'적인 고려요소는 아니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기업과 투자자 모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ESG가 각광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코로나19가 전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으며 이 같은 움직임에 탄력을 받고 있다. 투자자들은 ESG가 미흡한 기업들을 외면하기 시작했고, 기업들은 '탈석탄' 등 기후 변화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ESG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경영자들은 단순 기업 '이미지'를 위해서가 아닌, 생존을 위해 ESG 경영을 받아들이는 추세다.

■ EGS란...'지속가능성'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

이미지=한국기업지배구조원

ESG는 지난 2006년 유엔(UN)이 발표한 '책임투자원칙(PRI,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에서 다뤄지며 본격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PRI는 ESG 이슈가 투자 포트폴리오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즉 기관 투자자들이 투자대상 기업을 선정함에 ESG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후 투자시장에서 ESG라는 개념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이다. 투자 의사 결정 시 '지속가능'의 관점에서 기업의 재무적 요소들을 함께 고려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기업이 돈을 얼마나 잘 버느냐 보다 어떻게 벌고 어떻게 쓰는지에 중점을 두겠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기존에 기업의 재무적 성과만을 판단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장기적으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 요소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과거 국내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부나 봉사활동에 한정된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ESG에서 강조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 공헌을 넘어 공정한 거래, 투명한 지배구조, 준법 경영, 근로자 인권 보호와 같은 경제적 책임과 함께 제품의 품질, 환경 보호 등 환경적 책임을 모두 아우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업의 ESG 성과를 활용한 투자 방식은 이미 글로벌 트렌드로 자리잡았다. 올해는 새해 첫 달부터 ESG 채권 발행이 쏟아지고 있으며, 이는 그만큼 ESG에 대한 중요도와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ESG를 고려한 투자 원칙이 확산함에 따라 기업에게는 ESG 요소들을 집중적으로 관리, 발생 가능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중장기적 기업가치를 향상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기업들은 이익 창출과 고용 확대를 넘어 다양한 척도에 따라 평가 받게 될 것이다. ESG 개념 자체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사업부문, 조직 운용, 사회 공헌 활동 등 모든 요소에서 ESG가 고려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기업들은 점차 친환경, 사회적 책임경영, 지배구조 개선 등 투명 경영을 고려한 경영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 ESG를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국가신용도 상승 효과도

올 초 국내 기업 총수들이 발표한 신년사에서 ESG라는 단어를 자주 찾아볼 수 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ESG를 올해 경영방침으로 삼고 친환경, 저탄소, 미래가치 중심의 경영활동에 속도를 내고 있다. ESG를 통해 기업들은 수익 증가 및 비용 감소 등 기업의 경제적 가치를 재창출 할 수 있고, 기업 이미지 개선 등 부가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 이는 국가의 신용도 상승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ESG 관리는 전략적 차원에서 기업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 친환경적, 윤리적 소비 등 사회적 가치를 통해 이같은 소비를 원하는 신규 시장 개척이나 기존 시장의 확대가 가능하다. 또한 지속가능한 투자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설비 등을 도입해 탄소배출 감소 등 규제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지난 달 국제신용평가회사 무디스의 ESG 평가등급 발표에 따르면, 144개 국가 중 우리나라는 가장 높은 등급인 1등급을 부여 받았다. 11개 국가만이 1등급이었으며, G-20 국가 중에서는 우리나라와 독일만이 1등급을 부여 받았다.

무디스는 ESG가 국가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Credit Impact Score, “CIS”)을 5개 등급(CIS-1~5등급)으로 최종적으로 평가한다. 이를 위해 E(환경). S(사회), G(지배구조)에 대한 위험 노출도를 평가하여 각각 5개 등급으로 평가하는 Issuer Profile Score(ISP)를 부여하는 과정을 거친다. CIS-1등급은 ESG 평가가 국가신용등급에 긍정적으로 2등급은 중립적, 3등급은 다소 부정적, 4등급은 크게 부정적, 5등급은 매우 크게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는 ESG 평가가 국가신용등급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소수의 국가에 당당히 포함됐다.

우리나라는 분야별 평가에서 비교적 양호했다. 다만 S(사회) 부문의 경우 교육, 보건 및 안전, 기본 서비스 접근성에서 1등급을 받았으나, 저출산, 빠른 고령화 등으로 인구 부문은 4등급의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물론 무디스의 ESG 등급이 높다고 해서 국가신용등급이 반드시 높다고 할 수는 없으나, 일반적으로 ESG 등급이 높은 나라들이 전반적으로 신용등급이 우수한 편으로 확인되고 있다.

유승우 DB금융투자 연구원은 "CIS-1등급인 국가들의 신용등급은 Aaa에서 A2까지 포진하고 있다. 반면, 5등급인 국가들의 최고 신용등급은 투기등급인 Ba3에 불과하다"며 "ESG 등급과 국가신용도 간에는 상관관계가 높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선진국들 특히 유럽국가들보다 ESG 관련한 투자가 늦었지만, 그들 이상의 평가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트리뷴=윤소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