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자산운용 "최대 1.3조 펀드환매 중단...자산회수 최우선"
라임자산운용 "최대 1.3조 펀드환매 중단...자산회수 최우선"
  • 김현경 기자
  • 승인 2019.10.14 18: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규모 펀드 환매 중단 사태의 중심에 선 라임자산운용이 환매 연기 규모가 최대 1조3363억원에 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는 14일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펀드 유동성이 지속적으로 잠길 경우 연말 이후 만기되는 사모채권 만기 폐쇄형 펀드 3091억원을 포함해 총 1조3363억원이 환매 연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가 14일 여의도 IF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규모 펀드 환매 중단 사태 원인과 향후 대응 방안 등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이기정 기자
원종준 라임자산운용 대표가 14일 여의도 IFC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규모 펀드 환매 중단 사태 원인과 향후 대응 방안 등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이기정 기자

이번에 문제가 된 펀드는 사모채권·메자닌·무역금융 등 3가지 유형의 모(母)펀드다. 그동안 투자자들은 이 3개 펀드에 재간접 투자하는 자(子)펀드에 가입했다.

이날까지 라임자산운용이 환매를 연기한 펀드는 모두 93개로 총 8466억원 규모다. 앞서 지난 10일 1차 환매 중단된 펀드는 사모채권 37개(3839억원)와 메자닌 18개(2191억원)다. 이날 2차로 환매가 중단된 펀드는 무역금융 펀드 38개로 총 2436억원 규모다. 여기에 만기 시 상환금 지급이 연기될 가능성이 있는 펀드도 56개(4897억원)가 남아있다.

원 대표는 유동성 악화를 이번 펀드 환매 중단 사태의 배경으로 꼽았다.

최근 코스닥시장이 침체되면서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의 자산을 주식으로 전환하려던 메자닌 펀드의 수익률이 떨어져 유동성 확보가 어렵게 됐고 사모채권에 투자한 대체투자 펀드도 만기가 돌아오면서 유동성이 악화됐다. 무역금융 모펀드가 레버리지 스왑을 통해 투자하는 해외 무역금융펀드에서도 유동성 문제가 발생했다.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는 모펀드의 환매에 차질이 빚어지면서 자펀드에 투자한 고객들도 결국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원 대표는 "최근 코스닥시장이 침체하면서 CB와 BW 등을 주식으로 전환하려던 메자닌 펀드의 수익률이 떨어져 유동성 확보가 어렵게 됐고 결국 환매를 중단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현 시점에서 자산 매각 등으로 펀드 수익률 저하를 초래하는 것보다는 펀드 투자자들의 정상화를 위해 시간 확보를 통한 계획적 매각과 안정적인 자산 확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라임자산운용은 펀드별 상환 계획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우선, 10일 환매를 중단한 사모채권 투자 펀드 '라임 플루토-FI D-1호'는 시장성이 낮아 장내 매각이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종필 부사장은 "성공적으로 사모채권이 매각될 경우 내년 상반기까지 30%, 내년 연말까지 70% 자금 회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메자닌에 투자하는 상품인 '라임 테티스 2호'의 경우 옵션 행사 기간이 도래한 메자닌 자산에 대한 전환권·풋옵션 행사 등을 통해 약 52.5%를 6개월 내 우선적으로 회수한다는 계획이다.

또 이날 환매 중단을 결정한 '라임 플루토-TF 1호'의 경우 무역금융펀드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회수 기간은 최대 4년이다.

이 부사장은 "유동성 확보 및 수익률 안정화를 위해 해외 무역금융 펀드 지분 전체를 제3자인 거래 상대방에게 매각하는 방식 등으로 구조화 거래를 진행할 것"이라며 "매수대금의 약 60%는 2년8개월 뒤, 약 40%는 4년8개월 뒤에 지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원 대표는 "이번 환매 연기 사태에 대해 이유를 불문하고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며 "내부 인력들을 재정비해서 가장 적절한 가격과 방법으로 빠르게 자산을 회수하도록 노력하고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며 사과했다.

2012년 설립된 라임자산운용은 7년 만에 사모펀드 약 5조원을 운용하는 국내 최대 헤지펀드 운용사로 성장했지만 이번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로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비즈트리뷴=김현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