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공학회 “미래에도 수소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공존”
자동차공학회 “미래에도 수소차, 전기차, 하이브리드, 내연기관 공존”
  • 강필성 기자
  • 승인 2019.03.19 15: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비즈트리뷴=강필성 기자] 2030년에도 수소전기차와 전기차, 하이브리드와 내연기관 자동차가 공존하리라는 전망이 나왔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갖는 이들 자동차의 구동방식이 기술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경쟁력을 통해 살아남으리라는 분석이다. 

한국자동차공학회는 19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2030 자동차 동력의 가는 길: 주요 기술의 전망과 과자’를 주제로 자동차 기술에 대한 전망과 과제를 발표했다.

이날 각계의 학자들은 다양한 미래 자동차에 대한 전망치를 내놨지만 공통점은 2030년에도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를 비롯해 수소전기차와 전기차, 하이브리드 차가 살아남아 공존하게 되리라는 점이다. 특히 각 동력원에 따라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남아있다는 점을 향후 관전 포인트로 꼽았다. 

먼저 내연기관은 2030년에도 80%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주력 동력원으로 자리할 것으로 전망됐다. 

내연기관 연구책임자인 이기형 한양대 교수는 “내연기관을 구성하는 부품 수와 부품 공급업체 수는 다른 동력원이 비해 압도적으로 중요한 요소인 상품성, 코스트, 연료 가격과 공급 인프라, 항속거리의 경쟁력을 가졌다”고 평가했다. 

사진=한국자동차공학회
한국자동차공학회 자동차 기술 및 정책 개발 로드맵 연구위원회 김민수 교수(서울대학교), 황성호 교수(성균관대학교), 민경덕 위원장(한국자동차공학회 부회장, 서울대학교 교수), 박영일 교수(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기형 교수(한양대학교), 배충식 교수(한국과학기술원).ㅣ사진=한국자동차공학회

다만 엄격한 CO2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내연기관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신연소 기술과 초희박 연소, 고압·다단 분사 기술, 배기열 회수 기술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전동화와 연결된 엔진기술이 필요하다”며 “향후 20~30년간 자동차 주요 동력원으로서 내연기관의 효율향상과 배기저감에 필요한 신기술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각광을 받기 시작한 수소전기차도 미래의 주요 동력원이 될 전망이다. 

김민수 서울대학교 교수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수소전기차가 대안 중 하나로 제시되고 있다”며 “국제 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의 수소전기차 산업은 미래의 성장가능성이 매우 커 완성차 업체 및 부품 회사의 효율적 연계와 긴밀한 네트워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다른 동력원과 달리 수소전기차의 기술 상당수가 국산화에 성공했다는 점도 강점으로 꼽혔다. 

그는 “현재는 경제성이 거의 없지만 10만대 양산 시대가 열리면 찻값은 3000만원 수준으로 떨어지게 될 것”이라며 “다만 시장성을 위해 고내구성 전극·촉매·담기체 기술과 가변압 공기공급시스템 모듈화 기술, 고압 수소저장용기 생신 기술 등에 대한 체계적 지원이 필수”라고 말했다. 

전기차분야에 대해 발표한 황성호 성균관대학교 교수는 “전기차는 청정 신재생에너지 활용에 효과적 시스템으로 파리기후협정에 따른 온실가스 BAU 37% 감축을 위해 필수적”이라며 “이를 선점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전기차 쿼터를 부과하거나 스웨덴의 볼보가 순수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중단하거나, 프랑스·영국이 2040년 모든 경유·휘발유 차량 판매를 중단하기로 한 것이 대표적이다. 

그는 “모터·인버터, 배터리, 공조시스템 등 전기차의 핵심요소 기술의 내재화와 희토류, 영구자석 및 배터리 대체 소재 등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가 절실하다”고 분석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해 발표한 박영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하이브리드차는 내연기관의 효율 향상과 배터리 기술 발전 및 가격 하락에 따라 상당기간 크게 성장할 것”이라며 “특히 2015년 대비 2030년에 23.3~80.2%까지 연비 향상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하이브리드차가 단순히 전기차의 과도기적 성격이 아니라 지속가능한 친환경 솔루션으로 평가했다 

박 교수는 “하이브리드차는 연비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매우 현실적인 해결 방안”이라며 “기술발전 수준에 따른 결과 차이가 매우 커, 각 기술이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원되고 결합될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계의 협력 기구를 설립,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자동차공학회는 자동차공학인들의 인적 네트워크 구심기관으로 국내 자동차에 대한 학문과 기술발전을 도모, 산업발전에 기여할 목적으로 1978년 설립된 비영리 학술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