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 싶다’ 6월 항쟁 30주년 조명…“민주주의는 희망이 되지 못했나”
‘그것이 알고 싶다’ 6월 항쟁 30주년 조명…“민주주의는 희망이 되지 못했나”
  • 이은화
  • 승인 2017.06.09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SBS 

2017년, 올해로 6월 항쟁 30주년을 맞이했다.

오는 10일 오후 방송되는 SBS 시사프로그램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6월 항쟁 3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현 주소를 묻는다. 그리고 6월 민주항쟁에서 촛불혁명으로 이어진 정신을 통해 이 땅을 사는 평범한 시민들이 이끈 변화를 돌아보고 앞으로 함께 나아갈 민주주의를 고민해 본다.

불과 얼마 전 촛불을 들고 함께한 광장에서, 우리가 힘을 모으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목격했다. 30년 전, 그 여름의 거리처럼.

명동에서 45년 째 가게를 운영하는 탁필점 할머니는 지금도 명동의 거리를 보면 그 날이 선명히 떠오른다. 호헌철폐! 독재타도! 한 마음 한 뜻으로 구호를 외치던 날, 전경을 피해 최루탄을 피해 도망치는 학생들을 가게 안으로 숨겨주었다.

당시 한양대 간호학과 학생이었던 유진경 씨는 친구들과 의료진단에서 함께 활동했다. 다치는 사람이 생기면 치료를 하는 것이 그 상황에서 할 수 있는 '내 일' 이었다고 회상했다. 각자의 자리에서 함께 했던 30년 전 6월 거리 위의 사람들. 표현은 달랐지만 바람은 같았다.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바람.

민주화 과정에서 독재정권에 의한 희생은 사람들을 거리로 모이게 했고 함께 분노하고 행동하게 했다. 1987년 그로부터 30년이 흐른 지금, 우린 더 나은 세상에 살고 있는가.

노동조합을 만든 주동자로, 85년도 한국중공업에서 해고된 김창근 씨. 5년 만에 복직이 됐지만 IMF이후 구조조정을 이유로 2002년에 또 다시 해고된다. 사측은 민영화 반대 파업을 하는 노조원들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했다. 정당한 파업도, 요구도 그저 불법으로 치부됐다. 창근 씨의 동료 고 배달호 씨는 분신으로서 부당함에 저항했다.

박채영 씨 역시 동료를 잃었다. 본인의 권유로 택시 노조에서 함께 활동하던 고 허세욱 씨. 2007년 4월 1일 한미 FTA 협상을 중단하라며, 협상장인 서울 하얏트 호텔 앞에서 분신했다. 그의 유서엔, 본인을 위해 모금을 하지 말라는 내용이 적혀있었다.

그들이 지키고 싶었던 건 일상의 삶이었다. 평범한 사람들이 거리 위에서 부딪히며 이루어 낸 민주주의가 왜 그들에겐 희망이 되지 못한 걸까. 87년 6월의 희생은, 계속되고 있었다.

[비즈트리뷴 이은화 기자 jhwork@biztribu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