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기고] 최저 임금과 대학 교육
[칼럼/기고] 최저 임금과 대학 교육
  • 승인 2016.07.04 0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협상 타결을 앞두고 최저 임금 인상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저 임금 인상문제는 단순히 미숙련 노동자의 처우와 관련된 소득 재분배의 문제를 넘어 국가의 미래와도 직결된다.

교육 때문이다.

자비로 등록금을 마련해야 하는 학생이 있다면 이 학생이 현재 최저 시급 6천원을 가지고 1년 치 등록금 마련을 위해 필요한 노동 시간은 몇 시간일까.

사립계 인문계열 기준 최고등록금을 기준으로 했을 때 1년간 1,420시간이다.

한국 근로자 평균 근로 시간 2,120시간 대비 70% 수준이다. OECD(경제개발협력기구) 평균인 1,770시간 대비로는 85%다.

생활비나 용돈이라도 마련하려면 성인 노동자들보다 더 많은 일을 해야 할지도 모른다.

상황이 그나마 나아지고 있는 점은 위안이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최저 임금 기준 3,000시간 가까운 노동을 해야 등록금을 마련할 수 있었다.

등록금이 몇 년째 동결 또는 소폭 인상에 그치며 동 지표는 감소 중이다.

다행이지만 현 수준이 만족할 수치는 절대 아니다. 한국 대학 등록금은 너무 비싸다.

OECD 내 국가들은 국립대 기준으로 등록금이 무료이거나 주, 연방 정부에서 50~100% 지원금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이들 국가와 수치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국가를 제외 시 비교 가능한 국가 수는 13개국이다.

1인당 GDP(국내총생산) 대비 등록금 비율을 비교하면 한국은 13개국 내에서 상위권이다. 13%로 미국(15%), 일본(14%)에 이어 3위다.

무료이거나 데이터가 없는 국가까지 포함하면 30개 국가 중 다섯 손가락 안에는 들 성적이다.

교육은 양날의 검이다. 가진 자의 부를 지키기 위한 수단이자 가지지 못한 자의 희망이다.

최저 임금은 미숙련 노동자 뿐만 아니라 대학생의 처우와 관련된 부분도 크다.

대학 등록금을 더 내리지 못하겠다면 최저 임금이라도 대폭 올려 대학생들을 공부할 수 있게 해줘야한다.

중소기업 부담의 일정 부분은 국가가 보전해주고 늘어난 지출은 고소득자와 대기업세율 인상으로 상쇄하면 된다.

힘들어도 조금씩은 그래도 평등해지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신한금융투자 곽현수연구원]